Jury for Space Prize 2024

The 37th Space Prize for International Students of Architectural Design.

Jae Kyung Kim was appointed to a jury for the prize and proposed the main theme,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the Anthropocene.

인류세(人類世)의 건축과 도시 (Architecture & Urbanism in the Anthropocene)
지구는 탄생 이후 처음으로 물리적 구조가 인간의 영향으로 변화되는 시대를 맞고 있다.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와 같은 대(Era)와 그것에 속한 기(紀, Period), 세(世, Epoch), 절(節, Age)은 지구 기후 변화의 흔적을 담은 지층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미래에 이 시대는 인류가 만들어낸 건축물의 잔해로 인한 콘크리트와 철의 복합체, 또는 플라스틱의 합성물질(technofossil)로 이루어진 지층, 즉 인류세(人類世)로 판별될지도 모른다. 탄소와 메탄의 배출로 변화된 대기와 산성화된 바다도 새로운 유형의 지층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인류세가 일부 학자들의 주장일지라도 인류가 지구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류세의 거론은 단순히 지질학적 의미뿐 아니라 환경 변화로 인한 위험성에 대한 경고의 의미도 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어 지구에 큰 변화가 찾아온다면 먼 미래에 인류세를 확인하는 생명체는 인간이 아닌 다른 생명체일 수도 있을 것이다. UNEP(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요인인 탄소 배출의 75%가 도시에서 발생한다. 도시의 교통과 건물의 내부 환경의 유지를 위해 화석 연료를 소비하면서 배출되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일 것이다. 도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시멘트와 골재, 금속을 생산하고 건물을 짓는 과정까지 포함한다면 탄소 배출에서 도시와 건축이 차지하는 비율은 더 높아질 것이다. 이 비율을 낮추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건축 산업과 도시는 혁신적인 변화에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화의 시작은 바로 지금이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건축가의 역할은 과거보다 더 커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건축가의 개인적 철학, 유행과 스타일 같은 미시적 관점이 아닌 지구를 위한 초 거시적인 의미를 담은 건축의 시대가 찾아왔을지도 모른다. 이번 공모전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변화는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목재와 같은 재료의 사용이나 재활용 자재의 사용에서 시작될 수 있다. 지역의 재료를 사용하여 운송과 생산에 들어가는 탄소를 최소화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이나 사막화에 대응하는 도시적이고 건축적인 아이디어일 수도 있을 것이다. 건축과 도시의 지속성에 대한 고려와 환경과의 조화에 대한 개념의 것일 수도 있다. 변화를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가 요구된다. 미래의 인류를 위해 인류세의 도래를 막거나, 불가능하다면 늦출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과거에 지구를 변화시킨 힘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The history of the Earth is divided into geological eras. Geological eras are broadly divided into the Paleozoic, Mesozoic, and Cenozoic eras. We currently live in the Holocene, which began 10,000 years BC, shortly after the end of the Ice Age in the Cenozoic Era, which began 66 million years ago. Recently, there has been a movement in academia to designate an 'Anthropocene' and it is gaining acceptance in other fields. If the Anthropocene is officially designated, it will be the first period in history to be distinguished by human traces, unlike previous geological eras that were shaped by environmental changes. This is not only of geological significance, but also a self-correcting movement of humanity against environmental destruc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UN Rio +20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2012.

The term "Anthropocene"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dating back only 40 years at. This term was first used in the 1980s by American biologist Eugene F. Stoermer, and it was popularized in the 2000s by Dutch atmospheric chemist Paul J. Crutzen. Since then, the Anthropocene has been used more widely in academia, starting in the 2010s, and it has spread to other fields since the mid-2010s. The debate over the Anthropocene may paradoxically show the human will to prevent its birth.


Construction inherently entails environmental destruction. Buildings and cities are the biggest factors in carbon emissions and waste in production, construction, and these life cycles. Therefore, architecture and a city may be the most important cause of the advent of the Anthropocene. However, efforts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rchitecture tend to be made by government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owever, now is the time for architects to come forward. This is also why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gaining groun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Francis Kere, Shigeru Ban).


Direct Solutions - Projects targeting sit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plastic islands in the Pacific, and landfill sites. But different approach would be needed from 20th century mega-form architecture or avant-garde idealistic architecture. Focusing on building materials -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waste by using materials such as timber, mycelium, and etc. Vernacular Architecture - Rejection of Capitalist Globalization and focusing on local people and culture.

JK-AR